업태 VS 업종
업태와 업종의 정의와 분류에 대해 알아본다.
업태는 한국표준산업분류표상 영업의 종류 중 대분류에 속하는 것을 의미한다. 업종 또는 종목은 업태 중에서 세분화된 사업의 분류를 의미한다. 또,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라고도 할 수 있다. 즉, 업태는 '대분류', 업종은 '세세분류'라고 할 수 있다.
예를 들면 'Star*ucks' 의 경우, 업태는 '도매 및 소매업' 이고 업종은 '커피전문점'이 된다.
하지만, 업태와 업종의 분류가 너무 다양하기 때문에 명확히 분류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.
한국표준산업분류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.
표준산업분류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.
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표는 다음과 같다.
업태에 해당하는 대분류는 다음과 같다.
A 농업, 임업 및 어업
B 광업
C 제조업
D 전기, 가스,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
E 수도, 하수 및 폐기물 처리, 원료 재생업
F 건설업
G 도매 및 소매업
H 운수 및 창고업
I 숙박 및 음식점업
J 정보통신업
K 금융 및 보험업
L 부동산업
M 전문,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
N 사업시설 관리,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
O 공공행정,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
P 교육서비스
Q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
R 예술,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
S 협회 및 단체,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
T 가구 내 고용활동, 자가소비 생산활동
U 국제 및 외국기관
참고자료
업태는 한국표준산업분류표상 영업의 종류 중 대분류에 속하는 것을 의미한다. 업종 또는 종목은 업태 중에서 세분화된 사업의 분류를 의미한다. 또,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라고도 할 수 있다. 즉, 업태는 '대분류', 업종은 '세세분류'라고 할 수 있다.
예를 들면 'Star*ucks' 의 경우, 업태는 '도매 및 소매업' 이고 업종은 '커피전문점'이 된다.
하지만, 업태와 업종의 분류가 너무 다양하기 때문에 명확히 분류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.
한국표준산업분류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.
표준산업분류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.
분류목적
○ 한국표준산업분류는 생산단위(사업체단위, 기업체단위 등)가 주로 수행하는 산업 활동을 그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입니다.
○ 이러한 한국표준산업분류는 통계법에 의거하여 통계자료의 정확성 및 국가 간의 비교성을 확보하기 위하여, 유엔에서 권고하고 있는 국제표준산업분류를 기초로 작성한 통계목적분류입니다.
○ 한국표준산업분류는 통계목적 이외에도 일반 행정 및 산업정책관련 법령에서 적용대상 산업영역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준용되고 있습니다.
생산단위의 산업결정방법
○ 생산단위의 산업 활동은 그 생산단위가 수행하는 주된 산업 활동(판매․제공되는 재화 및 서비스)의 종류에 따라 결정됩니다. - (산업결정 우선순위) 주된 산업 활동은 산출물(재화 또는 서비스)에 대한 부가가치(액)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, 부가가치의 측정이 어려운 경우 산출액 또는 종업원 수 및 노동시간, 임금, 설비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합니다.
산업분류의 분류원칙
○ 생산단위는 산출물뿐만 아니라 투입물과 생산공정 등을 함께 고려하여, 그들의 활동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한 항목에 분류합니다.
○ 산업활동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활동단위의 주된 활동에 따라서 분류하며, 활동단위는 대분류를 결정하고, 순차적으로 중, 소, 세, 세세분류 단계 항목을 결정합니다.
분류구조 및 부호체계
○ 분류구조는 대분류(1자리, 영문대문자), 중분류(2자리 숫자), 소분류(3자리 숫자), 세분류(4자리 숫자). 세세분류(5자리 숫자)의 5단계로 구성됩니다.
○ 분류는 대분류 21개, 중분류 77개, 소분류 232개, 세분류 495개, 세세분류 1,196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표는 다음과 같다.
업태에 해당하는 대분류는 다음과 같다.
A 농업, 임업 및 어업
B 광업
C 제조업
D 전기, 가스,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
E 수도, 하수 및 폐기물 처리, 원료 재생업
F 건설업
G 도매 및 소매업
H 운수 및 창고업
I 숙박 및 음식점업
J 정보통신업
K 금융 및 보험업
L 부동산업
M 전문,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
N 사업시설 관리,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
O 공공행정,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
P 교육서비스
Q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
R 예술,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
S 협회 및 단체,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
T 가구 내 고용활동, 자가소비 생산활동
U 국제 및 외국기관
참고자료
- 한국표준산업분류표
- 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omkwon03&logNo=220698435506&proxyReferer=https%3A%2F%2Fwww.google.com%2F
- http://www.law.go.kr/%ED%96%89%EC%A0%95%EA%B7%9C%EC%B9%99/%ED%95%9C%EA%B5%AD%ED%91%9C%EC%A4%80%EC%82%B0%EC%97%85%EB%B6%84%EB%A5%98
- 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psj2352&logNo=220552897936&proxyReferer=https%3A%2F%2Fwww.google.com%2F
Comments
Post a Comment